복지관 페이스북 소식
나 너 우리 더불어 행복, 진주시평거종합사회복지관
나 너 우리 더불어 행복, 진주시평거종합사회복지관
페이스북과 자동연동 됩니다.
<사례 자조모임 [마·누·사] 8회기 모임 >
일시: 2025년 9월 29일(월) 19시
장소: 복지관 2층 핑크드림도서관
내용: 일상 나눔과 10월 힐링 나들이 계획하기 및 11월 김장 논의
[진주시복지재단(이사장 이성갑)에서 운영하는 진주시평거종합사회복지관(관장 김순자)]에서는 <사례자조모임 [마·누·사]>을 매달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번모임에서는 개인사정으로 참여 못 하신 분들이 계셨 지만, 참여하신 회원분들께 감사하며 이번 8회기 모임을 가졌습니다.
1. 가을 나들이 계획
추천장소로는
반성수목원, 강주연못, 유등전시관+김시민호, 북천 코스모스 축제장이 의견으로 나왔습니다.
가을 소풍답게 가을을 느낄수 있는 곳이면 좋겠다는 의견들이었습니다. 반성 수목원은 친구와 가려고 계획하고있는 회원이 있어 제외하고, 강주연못과 북천 코스모스 축제장으로 다른 회원들에게도 공유하여 의견을 들어보기로 하였습니다.
2. 김장 계획
작년에 너무 만족도가 높았던 김장이라 다들 올해도 기대하고 계셨습니다. 11월 마지막주 쯤 작년과 동일하게 절인배추와 양념을 구입해서 담기로했고, 각자가 담을 통과 앞치마 등 개인 물품은 챙겨오기로 하였습니다. 장소는 담당자가 적절한 장소를 찾아 보고 공유하기로하였습니다.
♡사례자조모임!! [마☆누☆사]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마누사
#마음을나누는사이
「하랑봉사단 추석명절 연휴 홀몸어르신 도시락 대체음식 후원」
9월 30일(화)
하낭봉사단(이우한회장)
봉사단체에서
‘긴 추석연휴 기간동안
중단되는 홀몸어르신들의 도시락배달음식을 대체할 수 있는 미역국밥, 햇반, 3분카레, 라면 등 80만원 상당의 대체음식을
후원해주셨습니다.
올해로
4년째 인연을 이어오고 있는
하랑봉사단은
매주 화요일이면 도시락배달 주방봉사를 책임지고 있으며,
매주 빵과 과일을
번갈아 후원해주고 있어
홀몸어르신과
피아노 교실 이용 아동의 간식
지원을 통해 건강한 삶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매년 잊지않고
설,추석이면 홀몸어르신 도시락 대체음식을 먼저 챙겨주시는
하랑봉사단이 있어
홀몸어르신도
평거복지관도 너무 너무
행복합니다. :))
「어울락 홍보단 '어울락 행복을 나누다' 홍보 캠페인 및 우유팩은 진주가 살린다 캠페인 진행」
오늘(26일) 진주 초전동 실내체육관 수영장 앞에서
👉 어울락 홍보단과 함께 복지관 홍보 캠페인과
👉 「우유팩, 진주가 살린다」 환경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 주민 여러분께는 복지관을 알기 쉽게 소개하는 리플렛을 나누어드렸고,
“복지관에서 함께하면 좋을 활동”에 직접 의견을 남길 수 있도록 스티커 참여도 함께 진행했답니다.
또, 우유팩이 자원으로 다시 태어나
환경을 지키는 힘이 된다는 사실도 나누었어요! 🌏💚
🌏 작은 우유팩도 자원으로 다시 태어나 환경을 지키고,
💚 작은 의견도 모여 더 큰 변화를 만들어갑니다.
복지관은 도움을 주는 곳을 넘어,
지역의 자원과 자원을 연결하는 가교로서 언제나 함께하겠습니다.
🙌 오늘의 만남처럼 주민과 복지관이 이어질 때,
우리 진주는 더욱 따뜻해집니다.
「요리조리 같이가치 – 연결고리 마지막 7회기 진행」
진주시복지재단(이사장 이성갑)이 운영하는 진주시평거종합사회복지관(관장 김순자)은 23(화) ‘요리조리 같이가치 연결고리’ 마지막 7회기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마지막 활동은 양말목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베개 만들기로, 버려질 수 있는 자원을 다시 활용하며 환경 보호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이었습니다.
작은 원형 고리에 알록달록한 양말목을 하나하나 엮어가며, 참여자들은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만의 베개가 완성된다”는 성취감과 즐거움을 느꼈습니다.
참여자들은
“버려지는 양말목이 이렇게 예쁜 베개로 다시 태어날 줄 몰랐다.”
“마지막 회기라 더 아쉽지만, 그동안 함께해서 행복했다.”
“손으로 만드는 과정도 재미있고, 환경을 지킨다는 점에서 보람이 크다.”
등의 소감을 나누며 활동을 마무리했습니다.
7회기 동안 이어진 ‘연결고리’ 활동은 함께 모여 웃고, 이야기 나누고, 서로의 마음을 이어주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도 복지관은 주민들의 일상 속 따뜻한 연결고리가 되겠습니다.
(해당 사업은 경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운영됩니다)